Franz Schubert(오스트리아, 1797~1828)
Johann Wolfgang von Goethe(독일, 1749~1832)
Sah ein Knab' ein Röslein stehn,
Röslein auf der Heiden,
War so jung und morgenschön,
Lief er schnell es nah zu sehn,
Sah's mit vielen Freuden.
Röslein, Röslein, Röslein rot,
Röslein auf der Heiden.
한 소년이 장미가 피어있는 것을 보았네,
들에 핀 장미.
너무나 싱싱하고 아침 햇살처럼 눈부셔,
얼른 달려가 가까이서 보았네,
큰 기쁨으로.
장미, 장미, 붉은 장미,
들에 핀 장미.
Knabe sprach: "Ich breche dich,
Röslein auf der Heiden."
Röslein sprach: "Ich steche dich,
Daß du ewig denkst an mich,
Und ich will's nicht leiden."
Röslein, Röslein, Röslein rot,
Röslein auf der Heiden.
소년이 말했네: "난 널 꺾을거야,
들에 핀 장미."
장미가 말했네: "난 널 찌를거야,
영원히 날 생각하도록,
그저 참고 있지 않을거야."
장미, 장미, 붉은 장미,
들에 핀 장미.
Und der wilde Knabe brach's
Röslein auf der Heiden;
Röslein wehrte sich und stach,
Half ihm doch kein Weh und Ach,
Mußt' es eben leiden.
Röslein, Röslein, Röslein rot,
Röslein auf der Heiden.
야만스런 소년은 꺾었네,
들에 핀 장미.
장미는 저항하여 찔렀고,
모든 불평도 소용없이.
결국 아픔을 겪어야 했네.
장미, 장미, 붉은 장미,
들에 핀 장미.
라미레미 번역
왠 아이가 보았네, 로 시작하는 우리 귀에 익숙한 베르너의 그 가곡과 같은 시로 슈베르트가 가락을 붙인 곡입니다. 마냥 서정적인 베르너의 곡과 달리 발랄하기 그지 없는 슈베르트의 노래인데, 그 속을 들여다보면 생각과 달리 천진무구한 소년이 아닌, 욕심부리고 강탈하고 상처입는 소년이 나옵니다.
괴테가 이 시를 쓴 것은 스무살 무렵, 아마도 첫사랑이었던 목사의 딸 프리데리케와 헤어지고 난 후라고 합니다. 괴테는 이 소녀를 보고 단단히 반했으나, 사귄 후에는 결국 자기 쪽에서 차버리고 말았는데, 이 결별로 스스로도 상처입었다고 하죠.
그래서 처음에 저는 이 노래 3절의 해석을 장미가 아니라 소년의 아픔을 노래하는 것으로 봤습니다. 보통의 번역들이 es를 장미로 보는데, 그렇게 되면 너무 잔인한 느낌이라 싫어서, 특히 노래로 부르기에는 차마 입이 안 떨어져서 부르기 힘들다는 게 사실 진짜 이유였죠.
제 독일어 선생님은 소년의 아픔이라는 것에 대해 아주 확신을 하셨는데 그렇게 되면 ihm은 소년을 가리키는 3격이 되고, Half ihm doch kein Weh und Ach는 좀더 직역하자면 ‘모든 불평도 그를 돕지 못하고’가 되고 es는 소년도 장미도 아닌 ‘고통’이 되어, Mußt' es eben leiden은 ‘결국 아픔을 겪어야만 했네’라고만 해석이 되어 장미의 아픔으로도 소년의 아픔으로도 볼 수 있게 됩니다.
저는 확신까지는 아니고, 장미로 볼 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모든 불평도 소용없이’라는 대목이 장미일 때가 더 자연스럽죠. 장미 따위가 저항한다고 나를 아프게 하다니! 불평을 하는 것은 너무… 못됐죠.
그런데 이번에 다시 번역글을 올리면서 이웃 der_rhein 님의 말씀을 들으니 2연에서 장미가 말하는 ‘그저 참고 있지 않을거야’(Und ich will's nicht leiden)와 3연의 ‘결국 아픔을 겪어야 했네’(Mußt' es eben leiden)에서 leiden(참다, 괴로워하다)이 연결된다는 것에서, 아무래도 소년보다는 장미가 맞는것 같습니다. 물론 장미가 안 참겠다고 했는데 결국 아픔을 겪어야만 하게 되는 연결 외에도 장미가 안 참겠다, 해서 소년이 아픔을 겪어야만 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해석도 가능한데요, 조금 억지스럽죠.
소년은 끝까지 장미를 자기 맘대로 할 수 있는 정복의 대상, 자기 감정과 행동과 경험의 대상으로, 물건으로만 생각하고, 그래서 장미의 아픔에 대해서는 채 이르지 못한 채로, 자신의 사랑과 이야기와 아픔에만 열중하고 있는 것일까요? 어떻게 보면 인간이 아니고 식물인 장미의 아픔에는 소년은 애초에 관심이 없는거죠. 괴테의 나르시시즘적인 성향을 생각해볼 때 이 해석이 맞다고, 그리고 그런 자기중심적인 소년의 모습을 거리를 두고 바라보는 것까지 포함된 시라고 저는 보았었는데, 지금은 좀 아닌 것 같습니다.
어쩌면 괴테는 장미로도, 소년으로도 해석할 수 있는 모호함으로 스스로의 상처를 감추고, 스스로의 약점을 감추려는 것일 수도 있겠습니다. 슈베르트 노래의 경쾌함은 얼핏 보기엔 심각한 가사와 어긋나 보이지만, 적절한 거리두기를 통해 부조리함과 모호함을 표현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웃님의 말씀을 들어보면 괴테의 시도 원시라고 할 수 있는 민요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하니 태생적인 부조리함일 수도 있겠습니다.
좀더 심각한 해석은 맨아래 링크를 참조해 주세요.
Barbara Bonney · Geoffrey Parsons
https://www.youtube.com/watch?v=h_3_KsAVfs8&a
Ian Bostridge · Julius Drake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위 위의 목동 Der Hirt auf dem Felsen - Schubert 가사번역 (1) | 2023.11.11 |
---|---|
음악에 부침 An die Musik - Schubert 가사번역 (0) | 2023.11.05 |
왜, 누가, 이 여성에게 허락하지 않았는가? -예술의 전당 로열오페라 Bellini Norma 노르마 공연후기 2023.10.27. (1) | 2023.10.30 |
아베마리아 Ave Maria : 엘렌의 세번째노래 Ellens Gesang III -Schubert 가사번역 + Caccini Ave Maria (1) | 2023.10.29 |
잘 자요 Gute Nacht <겨울 나그네> Winterreise - Schubert 가사번역 (1) | 2023.10.28 |